티스토리 뷰
반응형
여야는 공적연금 강화 차원에서 2028년 이후 국민연금 명목소득대체율을 현행 40%에서 50%로 끌어올리기로 합의 법개정은 9월.
소득대체율은 점점 하락 추세이며 2028년에는 40%까지 떨어진다고 하는데 50%로 올린다는 얘기는 돈을 더 걷겠다고 하는 것이고 후세에 부담이 가중되겠네요.
예상 소득 대체율.
60% - > 50% -> 2014년 47% ->2028년 40%
소득대체율이란?
연금가입기간 중 평균소득을 현재가치로 환산한 금액대비 연금지급액으로 연금액이 개인의 생애평균소득의 몇 %가 되느냐 하는 개념이다. 소득대체비율이 50%이면 연금액이 연금 가입기간 평균 소득의 절반 정도 된다는 의미다. 일반적으로 안락한 노후보장을 위한 소득대체율은 65∼70%라고 알려져 있다.
[네이버 지식백과] 소득대체율 (한경 경제용어사전, 한국경제신문/한경닷컴 )
소득대체율은 자신이 받는 국민연금 액수가 자신의 평균 소득에서 얼마 정도 되는지를 보여주는 비율.
국민연금 가입 40년 동안 월평균 소득이 500만원이면 소득대체율 50%인 상황에서는 월 250만원을 받음.
반응형
'Ne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동으로 따라다니는 드론 릴리 (0) | 2015.05.14 |
---|---|
경찰청, 서울중앙지검 보이싱피싱 조심하세요. (0) | 2015.05.12 |
내츄럴엔토텍 백수오 논란 시총 1조가 날라갔네요 (0) | 2015.05.02 |
백수오 진짜 제품 3곳 알아보기. (0) | 2015.04.23 |
애플워치 미국 6시간만에 품절 (0) | 2015.04.12 |
댓글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