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공지능 강아지 심리 테스트(무료)
오늘로또 당첨분석 및 행운번호 받기(무료)

티스토리 뷰

News

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이란?

마음 부자 2015. 5. 4. 17:34
반응형

여야는 공적연금 강화 차원에서 2028년 이후 국민연금 명목소득대체율을 현행 40%에서 50%로 끌어올리기로 합의 법개정은 9월.

소득대체율은 점점 하락 추세이며 2028년에는 40%까지 떨어진다고 하는데 50%로 올린다는 얘기는 돈을 더 걷겠다고 하는 것이고 후세에 부담이 가중되겠네요.

예상 소득 대체율.

60% - >  50% -> 2014년 47% ->2028년 40%

 

소득대체율이란?
 
연금가입기간 중 평균소득을 현재가치로 환산한 금액대비 연금지급액으로 연금액이 개인의 생애평균소득의 몇 %가 되느냐 하는 개념이다. 소득대체비율이 50%이면 연금액이 연금 가입기간 평균 소득의 절반 정도 된다는 의미다. 일반적으로 안락한 노후보장을 위한 소득대체율은 65∼70%라고 알려져 있다.

[네이버 지식백과] 소득대체율 (한경 경제용어사전, 한국경제신문/한경닷컴 )

 

소득대체율은 자신이 받는 국민연금 액수가 자신의 평균 소득에서 얼마 정도 되는지를 보여주는 비율.

국민연금 가입 40년 동안 월평균 소득이 500만원이면 소득대체율 50%인 상황에서는 월 250만원을 받음.

반응형
댓글

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,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
반응형